가톨릭 성가 원곡을 찾아 자료를 올린다 가톨릭 성가를 살펴보다가 문득 원곡과 유래가 궁금해졌다 그리곤 한달 남짓 성가의 유래( 외국곡으로 한정 )와 동영상을 찾아서 모아본다 작업순서는 제목을 작곡자의 모국어 원명으로 찾아서 검색 그리고 원명으로 찾은 원곡 동영상을 유튜브에서 찾아 수집 후에 작곡자와 작..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4.09
영성체송 Antiphona ad Communionem 영성체송(㉱ Antiphona ad Communionem) 이 기도문은 미사와 성체의 신비를 표현하며 신자들이 성체 (밀떡이 변화된)를 받아 모실 때 부른다. 미사성제를 통해 십자가상의 제헌과 구원을 새롭게 하신 그리스도의 성찬에 초대받았음을 기뻐하며 감사하는 노래이다. 이로써 성체를 모시는 교중들..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하느님의 어린양 Agnus Dei 하느님의 어린양(㉱ Agnus Dei) 하느님의 어린양은 구약 시대의 제사 때 제물로 쓴 어린양을 말하는 것이지만 양순하고 죄없는 그리스도께서 인간을 위하여 희생되신 것을 뜻하는 것이다.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를 세 번 거듭하는 것은 그만큼 절실히 간구하는 뜻..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주님의 기도 맺음 환호 (주님께 나라와 권능과 영광이 영원히 있나이다) 주님의 기도 맺음 환호 주님의 기도가 끝난 후 사제의 기도에 대한 응답을 노래하는 것이다. "주님 저희를…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게 하소서." 하고 기도하면 다 함께 "주님께 나라와 권능과 영광이 영원히 있나이다. " 라고 응답한다.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주님의 기도 Pater Noster,(Oratio Dominica) 주님의 기도(㉱ Pater Noster, Oratio Dominica) 주님께서 친히 우리에게 가르쳐 주신 기도이다〈마태 6, 9-12〉. 미사 중에 전례화된 것은 4세기경이며 영성체를 준비하는 기도로 시작되었다. "주님의 기도는 사제와 백성이 함께 노래하는 것이 타당하다. 만일 라틴어로 노래하게 되면 이미 인준되..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아멘 Amen 아멘(㉱ Amen) 사제의 마침 영광송(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으로 하나되어 전능하신 천주 성부 모든 영예와 영광을 영원히 받으소서.) 후에 신자들이 응답하는 것이므로 제단에서 거행되는 신비에 대한 동의, 확신의 표시이다. 4세기 말경의 성 암브로시오..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신앙의 신비여 (축성 후의 기념 환호) 신앙의 신비여 (축성 후의 기념 환호) 성찬 예식 중 가장 신비스러운 순간, 즉 밀떡과 포도주가 사제의 축성에 의하여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하는 때에 부르는 노래이다. 사제가 "신앙의 신비여"를 선창하면 모든 이들이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 주님의 죽음을 전하며 부활을 선포 하나이..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거룩하시도다 Sanctus 거룩하시도다(㉱ Sanctus) 감사송의 마지막 환호인 '거룩하시도다'는 천사 세라핌의 찬가〈이사 6, 3〉와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환영하던 백성들의 찬가〈마태 21, 9〉를 합한 것으로 즉 거룩하시다(Sanctus) +축복받은 분(Benedictus)의 두 부분이 결합된 노래이다. 이 노래는 「그리스..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봉헌송 Offertorium 봉헌송(㉱ Offertorium) 제2부 성찬 전례에서 처음 나오는 노래로서 신자들이 예물을 바치러 제단으로 나아갈 때 부르는 노래이다. 초대 교회 때는 빵과 포도주를 각각 가지고 와서 제대 앞까지 행렬하며 노래를 했는데 주로 시편을 노래했다(5세기경까지). 원래 고유의 봉헌송이 있으나 봉헌..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
보편지향 기도 응답 노래 보편지향 기도 응답 노래 미사에 참석하지 못한 불쌍한 자들을 위하여 바치는 기도로서 2세기경에 이미 행하였던 기도이다. 평신도(또는 해설자)가 기도를 하면 회중이 후렴에 속하는 부분을 응답한다.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 주소서" 또는 "오 하느님 저희의 기도를 들으소서"의 가사.. 나의음악이 흐른다/가톨릭성가 공부 2016.03.08